
[Dreamhack] System Hacking Stage 12 - Memory Corruption: Double Free Bug
·
Hacking/System
서론 free 함수로 청크를 해제하면, ptmalloc2는 이를 tcache나 bins에 추가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이후에 malloc으로 비슷한 크기의 동적 할당이 발생하면, 이 연결리스트들을 탐색하여 청크를 재할당한다. 이 메커니즘에서, 해커들은 free로 해제한 청크를 free로 다시 해제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했다. tcache와 bins를 free list라고 통칭한다면, free list의 관점에서 free는 청크를 추가하는 함수, malloc은 청크를 꺼내는 함수이다. 그러므로, 임의의 청크에 대해 free를 두 번이상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청크를 free list에 여러 번 추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청크가 free list에 중복해서 존재하면 청크가 duplicated됐다고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