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8 정렬
·
Data Structure
8.1 정렬의 종류 정렬(sort) : 주어진 원소(레코드)들을 원하는 기준에 의해 나열하는 작업 ex) 파일을 크기 순서대로 정렬, 시험 점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 주 메모리에서 처리하는 내부 정렬(internal sort)과 하드 디스크와 같은 외부 기억장치에서 처리하는 외부 정렬(external sort)로 구분한다. 레코드는 정렬의 기준이 되는 key field와 다른 속성들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정렬 정렬할 원소 개수가 메모리보다 훨씬 큰 경우 외부 정렬을 수행해야 한다. 외부 기억장치에 정렬해야 할 전체 원소의 수가 N개가 저장되어 있고, 메모리의 크기가 m이라고 가정하자. 외부 정렬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1. N개의 원소를 m으로 나누어 N / m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한다. 2. ..
CHAPTER 07 최대 힙 연습문제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7 최대 힙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6 이진 트리 연습문제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6 이진 트리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5 연결 리스트 연습문제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5 연결 리스트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4 스택과 큐 연습문제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4 스택과 큐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3 재귀 호출 연습문제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PTER 03 재귀 호출
·
Data Structure
3.1 재귀 호출의 개념 재귀 호출(recursion) : 함수의 실행 중에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상황 동일한 함수가 다시 호출되어 혼동될 수 있지만 시스템 입장에서는 또 다른 함수가 불리는 것과 같다. ​ 함수가 실행되면 함수의 실행 환경 정보(컨텍스트)가 저장된 활성 레코드가 생성되어 시스템 스택에 추가된다. 함수의 컨텍스트에는 지역 변수, 복귀 주소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재귀 함수는 호출되는 횟수만큼 활성 레코드가 스택에 쌓이게 된다. ​ 프로그램 3.1 재귀문 팩토리얼 이전 프로그램 2.2에서 팩토리얼 함수를 다뤘었다. 반복문 팩토리얼 함수를 재귀문으로 변환하여 작성했다. ​ 프로그램 3.1은 재귀 함수로 10 ~ 20까지의 팩토리얼을 각각 계산하는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fact(4)를 호출..
CHAPTER 02 파이썬 자료구조 연습문제
·
Data Structur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