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654 랜선 자르기 (Class 2 실버 3)

2022. 5. 15. 23:53·BOJ/Python

문제

집에서 시간을 보내던 오영식은 박성원의 부름을 받고 급히 달려왔다. 박성원이 캠프 때 쓸 N개의 랜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바빠서 영식이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미 오영식은 자체적으로 K개의 랜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K개의 랜선은 길이가 제각각이다. 박성원은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0cm 짜리 랜선에서 140cm 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는 버려야 한다. (이미 자른 랜선은 붙일 수 없다.)

편의를 위해 랜선을 자르거나 만들 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하며, 기존의 K개의 랜선으로 N개의 랜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자를 때는 항상 센티미터 단위로 정수길이만큼 자른다고 가정하자. N개보다 많이 만드는 것도 N개를 만드는 것에 포함된다. 이때 만들 수 있는 최대 랜선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 K는 1이상 10,000이하의 정수이고, N은 1이상 1,000,000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항상 K ≦ N 이다. 그 후 K줄에 걸쳐 이미 가지고 있는 각 랜선의 길이가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입력된다. 랜선의 길이는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개를 만들 수 있는 랜선의 최대 길이를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출력한다.

내 제출

import sys
K, N = map(int, input().split())
lan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K)]
start, end = 1, max(lan)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cnt = 0
    for i in lan:
        cnt += i // mid
    if cnt >= N: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print(end)

 

해설

import sys
K, N = map(int, input().split())
lan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K)]
start, end = 1, max(lan)

랜선의 개수 K, 필요한 랜선의 개수 N, 각각의 길이를 리스트 lan에 입력한다.

평소에는 for문을 밖으로 빼고 append를 이용해서 입력했는데 이번에는 리스트 내에서 반복하는 방법을 사용해 보았다.

그리고 이번에는 sys를 import해 sys.stdin.readline()를 이용해서 값을 입력받았다.

input() 내장 함수는 prompt message를 출력하고, 개행 문자를 삭제한 값을 리턴하기 때문에 sys.stdin.readline()에 비해 실행이 느리다.

반복문을 이용할 경우 input()으로 입력 받는다면 시간초과가 발생할 수 있고, 이때 sys를 이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이진 탐색을 하기 위해서 시작점(start), 끝점(End)을 각각 1과 lan의 가장 긴 값으로 초기화한다.

 

참고자료 : https://buyandpray.tistory.com/7

 

[Python] Input vs. sys.stdin.readline 차이점?

Python으로 백준 문제를 풀 때 내장 함수 input()으로 입력을 받으면 시간 초과로 오답처리가 되고, sys 모듈의sys.stdin.readline()으로 입력을 받으면 시간 안에 채점이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왜 그

buyandpray.tistory.com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cnt = 0
    for i in lan:
        cnt += i // mid
    if cnt >= N: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print(end)

start와 end가 같아지면, 혹은 end값이 start보다 작아지면 반복문이 끝난다. (이진 탐색의 조건)

중앙값 mid를 구해 랜선의 길이가 mid보다 길면 랜선의 값을 mid로 나눈 몫을 cnt에 더한다.

cnt의 값이 원하는 개수 N보다 많으면 start의 값을 중간값 +1로 바꿔 중간값을 크게 바꾼다.

cnt의 값이 원하는 개수 N보다 적으면 end의 값을 중간값 -1로 바꿔 중간값을 작게 바꾼다.

반복문이 끝난 end 값을 출력한다.

 

 

K, N = map(int, input().split())
lan = [int(input()) for _ in range(K)]
start, end = 1, max(lan)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cnt = 0
    for i in lan:
        cnt += i // mid

    if cnt >= N: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print(end)

input()을 이용해서 작성한 함수이다.

이번 문제에서는 input()을 이용해도 시간 초과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다만 최근에 했던 SMCPU 연습을 하면서 sys에 익숙해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실습했다.

'BOJ/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10814 나이순 정렬 (Class 2 실버 4)
  • 백준 2164 카드 2 (실버 4)
  • 백준 2805 나무 자르기 (Class 2 실버 2)
  • 백준 10773 제로 (실버 4)
단축키실행해보세요
단축키실행해보세요
공대생
  • 단축키실행해보세요
    Ctrl + Shift + ESC
    단축키실행해보세요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70)
      • 외부 활동 (4)
      • BOJ (36)
        • Python (24)
        • C++ (12)
        • Java (0)
      • Hacking (91)
        • Crypto (4)
        • Forensics (2)
        • Mobile Hacking (5)
        • Reversing (21)
        • System (21)
        • Web Hacking (38)
      • Cloud (14)
        • Serverless (1)
        • AWS (8)
      • ML (4)
      • Data Structure (16)
      • Git (0)
      • DevOps (0)
        • Terraform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백준
    Dreamhack
    datastructure
    자료구조
    AI
    System
    CodeEngn
    AWS
    bWAPP
    Reflected
    Reversing
    Redis
    유석종교수님
    cloud
    htmlinjection
    EC2
    c
    SAA
    beebox
    acc
    SISS
    backjoon
    XPath
    pwnable
    basicrce3
    부하테스트
    Systemhacking
    ML
    S3
    python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단축키실행해보세요
백준 1654 랜선 자르기 (Class 2 실버 3)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