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Cloud)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 환경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온프레미스
기업의 서버를 클라우드와 같이 가상의 공간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서버에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식
클라우드 이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시스템으로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식을 뜻한다.
클라우드와 정반대로 온프레미스는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각각 구입하고 특정 공간에 직접 인프라 환경을 구성한다.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와의 차이점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를 비용, 보안, 구축 및 관리 측면에서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이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장기적으로 사용할 예정이거나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 인력과 부서가 있고 조직 내부만을 위한 전용 서버가 필요한 기업은 ‘온프레미스’ 방식이 적절하다.
반면에, 초기 구축 비용이 부담스럽거나 운영 인력을 별도로 갖추기 어렵고, 서버를 구축하는 시간 없이 빠르게 도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이 적절하다.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차이점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는 기술적인 방법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 등이 있다.
즉, 클라우드는 개념적인 측면에서의 인터넷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제공을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를 기술적인 측면에서 구현하는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SaaS(Software-as-a-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 SaaS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 서버에 올라온 상태에서 호스팅 서비스 형태로 제공
-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구축된 상태라 구축된 서비스를 임대한다는 개념
PaaS(Platform-as-a-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
-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것에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형태로 제공
- 개발 도구, 인프라, 운영 체제를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필요한 모든 것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
- 클라우드 제공 업체로부터 필요한 서버와 저장소를 임대
- 클라우드 인프라로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구축하고 개발해야 함
FaaS(Function-as-a-Service)
- 서버리스 컴퓨팅으로 환경을 구성하는 개념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필요할 때만 실행되는 더 작은 구성 요소
클라우드 아키텍처란?
클라우드 아키텍처
기술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방법
하드웨어, 가상 리소스, 소프트웨어 기능, 가상 네트워크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클라우드 기술 구성요소가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만드는지 나타낸다.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기본 구성 요소
- 프론트엔드 플랫폼 (클라우드 액세스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또는 기기)
- 백엔드 플랫폼 (서버 및 스토리지)
- 클라우드 기반 제공 모델
- 네트워크(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인터클라우드)
클라우드 아키텍처 모델
퍼블릭 클라우드 아키텍처
- 컴퓨팅 리소스를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처
- 인터넷을 통해 여러 테넌트 간에 공유 및 재배포된다.
- 퍼블릭 클라우드의 이점으로는 운영 비용 절감, 손쉬운 확장, 유지 보수 감소 등이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아키텍처
- 회사의 자체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에서 별도로 소유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처
- 지리적으로 분산된 co-location 시설에 있는 여러 서버 위치나 임대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 일반적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솔루션보다 비용이 많이 들지만 프라이빗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더 자유로운 수정이 가능하며, 엄격한 데이터 보안 및 규정 준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아키텍처
- 퍼블릭 클라우드의 운영 효율성과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데이터 보안 기능을 결합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모두 활용하여 IT 리소스를 통합하는 동시에 조직이 데이터 보안 요구 사항에 따라 환경 간에 워크로드를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
-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처
- 조직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고 배포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다.
- 단일 클라우드 서비스 벤더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특정 벤더 종속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 여러 클라우드에 서비스가 존재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기반의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가 필요할 수 있다.
참고 자료
클라우드(Cloud)란?
https://www.samsungsds.com/kr/cloud-glossary/what-is-cloud.html
전자계약 도입, 클라우드 or 온프레미스
https://www.eformsign.com/kr/blog/cloud-and-onpremise/
클라우드 아키텍처란?
https://www.vmware.com/kr/topics/glossary/content/cloud-architecture.html
클라우드 아키텍처란?
https://cloud.google.com/learn/what-is-cloud-architecture?hl=ko#section-8